'하한가 더 맞아야 하나'…레버리지 원유 ETN 투자 개미 '울상'

['전액 손실 위험' 경고등이 켜졌던 레버리지 WTI(서부텍사스산) 원유 선물 ETN(상장지수 증권) 4종이 거래를 재개한 27일 일제히 급락했다. 그런데도 매매 가격이 실제 가치보다 크게 높은 비정상적인 괴리율이 지속되면서 또다시 3 거래일 동안 매매가 중단된다. 이들 종목은 많게는 2번, 적게는 1번의 하한가를 맞아야 괴리율이 정상 범위에 진입한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추가 손실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지수의 2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원유 ETN의 상·하한가 폭은 일반 종목의 두배인 60%다.    ]

 

원유 레버리지 ETN이 오랜만에 장을 열자마자 하한가를 맞고 거래정지됐다. 높아진 괴리율 때문에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삼성 레버리지 WTI 원유 선물 ETN은 27일 하한가를 맞으면서 괴리율이 400%대로 낮춰졌지만 28일 유가가 다스 폭락하면서 괴리율이 1000%로 다시 뛰었다. (거래는 정지됐지만 WTI 원유 추종 상품이므로 IV는 계속해서 변한다.)

최근 들어 폭락해버린 유가에 개미들이 바닥인 줄 알고 뛰어든 게 화근이었다. LP가 괴리율을 맞추기 힘들 정도로 엄청난 물량이 쏟아지면서 주가는 실제 가치에 비해 미친 듯이 상승하였다. 괴리율이 1000%라는 건 실제 가지보다 10배가 뻥튀기됐음을 의미한다. 괴리율이 뭔지도 모르고 싸다고 사신 분들이 많을 것이다. 레버리지나 인버스 상품은 묻지 마 투자를 하면 큰일 난다. 하루에 -60~+60%를 왔다 갔다 하는 상품이다 보니 투자상품 중에서도 초고위험군에 속하므로 아무것도 모르는 분들은 투자하지 않는 게 돈 버는 것이다. 그리고 이번 기회에 인버스로 돈을 번 사람들도 가능한 한 빨리 손을 터는 게 좋다. 언제 꼬라박을지 아무도 모른다. 평균 회귀의 법칙이라고 아는가? 한두 번은 운이 좋아서 수익을 낼 수 있을지 몰라도 매매 횟수가 증가하면 결국 평균(마이너스)에 값이 수렴하는 것이다. 레버리지에 물려있는 투자자는 정말 안습이다. 아직도 괴리율이 맞춰지지 않다 보니 거래를 재개해도 또다시 하한가를 맞을 확률이 크다.

 

 

‘반짝 반등’ 국제유가 25% 대폭락…“저장할 곳이 없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315857

[산유국들은 다음달부터 하루 970만 배럴 감산에 합의한 상황이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수요 감소폭이 감산폭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감산 효과가 사실상 사라졌다. 글로벌 원유 수요는 하루 2000만~3000만 배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원유재고가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몇 달 내로 글로벌 원유 저장 탱크가 가득 차는 ‘탱크톱(tank top)’ 상황에 이를 전망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앞바다에는 원유를 가득 채운 20여척의 초대형 유조선이 대기 상태다.]

 

유가가 또다시 급하락했다. 더 이상 원유를 저장할 공간이 없다는 불안에서이다. 970만 배럴 감산 합의는 무용지물이 되게 생겼다. 실 수요 하락은 그보다 훨씬 크기 때문이다. 원유를 가득 실은 초대형 유조선들은 미국 앞바다에 즐비하고 미국은 아직도 코로나로 혼란스럽기만 하다. 트럼프는 5월 중으로 경제 정상화를 외치지만 글쎼.. 무리하게 움직이다간 코로나가 더욱 퍼질지 모르는 상황이다. 감염병 전문가는 '코로나가 퍼지는 게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피해가 클지가 문제다'라고 말했다. 경제활동을 재개할 경우 코로나가 다시 퍼지는 건 기정사실이란 소리다. 미래를 예측할 순 없지만 어떤 엄청난 이벤트가 없이는 유가를 끌어올리기 힘들어 보인다.

 


[시장에서는 6월물을 건너뛰고 7월물 등으로 갈아타는 움직임도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대표적인 원유 선물 상장지수펀드(ETF)인 ’US오일펀드‘는 6월물 WTI를 모두 매각할 예정이라고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고했다. US오일펀드는 36억 달러(약 4조 4천억 원) 규모다.
앞서 5월물 WTI는 만기일(4월 21일)을 앞두고 6월물로 갈아타면서 마이너스 37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USO는 6월물을 버리고 7월물로 갈아탈 준비를 하고 있다. 또한, 기초지수 산출기관 S&P도 28일 오전 WTI(서부텍사스유) 6월물을 담고 있는 기초지수의 구성 종목을 한국 시간 29일 새벽 3시 30분에 7월물로 전량 롤오버 한다고 밝혔다. 지난 4월 초에 기존 5월 물을 6월 물로 롤오버 한 데 이어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또 한 번 롤오버를 단행한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 원유 ETN도 7월물로 롤오버 할 것으로 보인다.

월별 WTI원유 선물 가격

현재 7월물 가격은 18.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6월물이 11.81달러이므로 추종지수를 6월물에서 7월물로 교체할 경우 슈퍼콘탱고 상태가 돼서 롤오버 비용이 많이 들 것이다. 7월물로 변경되면 변동성은 줄어들 수 있지만 높은 롤오버 비용은 수익률에 반영되기 때문에 추후 수익률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높은 변동성을 지닌 6월물로 거래를 해서 손실을 본 투자자들은 추종지수가 7월물로 변경됨에 따라 변동성의 크기는 줄었지만 그만큼 예전의 손실을 회복하기 어려울 거란 관측이 크다.

사진출처- 머니투데이

 

 

"동학개미 저리 가라 '원유개미' 왔다"···하루 1조원 '불나방 베팅'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3727977

 

"동학개미 저리 가라 '원유개미' 왔다"···하루 1조원 '불나방 베팅'

[서울경제] 국제유가가 유례 없는 추락을 하는 상황에서 개인투자자들의 원유시장 ‘베팅’이 불을 뿜고 있다.서부텍사스산원유(WTI) 5월물이 마이너스 40달러선까지 가는가 하면 6월물도 하루 사이에 반토막 수준으로 떨

n.news.naver.com

국제유가가 유례 없는 추락을 하는 상황에서 개인투자자들의 원유시장 ‘베팅’이 불을 뿜고 있다.서부텍사스산원유(WTI) 5월물이 마이너스 40달러선까지 가는가 하면 6월물도 하루 사이에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지는 급락세를 나타내자 원유가 상승과 하락에 투자하는 유가 상장지수증권(ETN)·상장지수펀드(ETF) 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삼성전자 등 대형주와 바이오 주 등에서 재미를 본 개인투자자들 중 일부가 변동성이 큰 원유 시장으로 몰려들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실제 ETF·ETN의 가치보다 더 비싼 가격에도 매수를 서슴치 않는 ‘위험한 도박’에 나서는 ‘원유 개미’들에게 전문가들이 ‘경고’를 보내고 있지만 도통 먹혀들지 않는 상황이다.

 

역사상 유례가 없는 초저유가 세상이 도래하자 동학개미에 이어 '원유개미'가 등장했다. 현재가 저점이라 생각하여 개미들이 원유 레버리지 상품을 미친 듯이 사들이고 있는 것이다. 확실히 원유 가격이 초저점이긴 한데 전문가들이 왜 경고를 보내는 걸까?

원유 레버리지에 투자하는 다수의 개미들은 레버리지가 어떤 상품인지도 모르고 투자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Ilv가 뭔지도 모르고 괴리율이 뭔지도 모르고 그냥 주위에서 싸다고 하니까 묻지 마 투자를 행하고 있다. 현재 증권사에 표시된 수치가 괴리율이 적용된 주가인 줄도 모르고 동전주라 싸다며 무차별적으로 사들이고 있는 것이다.

 

 

 

"진짜 큰일났다 vs 버티면 된다"…원유ETN 투자자 '멘붕'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398726

 

"진짜 큰일났다 vs 버티면 된다"…원유ETN 투자자 '멘붕'

[머니투데이 조준영 기자] 지난달 투기 광풍이 벌어지며 거래량이 폭증한 원유선물 레버리지 ETN(상장지수증권) 수천 억 원이 휴지 조각이 될 수 있다는 소식에 투자자들은 충격에 휩싸였다. 22일 원유ETN 종목을 토

n.news.naver.com

지난 8일 주당 3200원(현재 2085원, 거래정지 중)에 삼성 레버리지ETN을 매수했다는 한 투자자는 "(유가가) 싸다고 생각해 안심하고 버티고 있었다. 거래정지가 풀리면 맞을 건 맞고 유가가 다시 올라갈 때 따라 올라가면 되는 게 아니냐"고 말했다.
자신을 레버리지ETN에서 8000만원 손실을 봤다고 밝힌 한 투자자는 "다른 곳에서 만회하면 된다. 모두 힘내자"고 격려하기도 했다.
반면 종목토론방에 한 투자자는 "솔직히 레버리지 대박 날 것 같으니까 불안해하는 것 같다"며 "남이 돈을 따면 배 아픈 거지"라고 했다. 또 다른 투자자도 "한 달만 거래정지 하면 된다. 그 안에 유가는 정상화될 것"이라며 "너무 조급할 것 없다"고 말했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투자자들도 우왕좌왕하고 있다. 점점 불안감이 엄습해오는 것이다. 누구는 떨어져도 물 타면서 버티면 결국 급등할 것이라고 말하고 다른 누구는 투자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배 아파서 하는 소리로 들린다고 한다. 

과연 그들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는 질투일까? 현재 원유 레버리지를 매수하는 행위는 불지옥에 뛰어드는 불나방과 같다.

왜 그럴까?

 

다음 사진을 보자

NH투자증권에서 '신한 WTI 원유 레버리지' 상품을 검색한 사진이다. 종목 상세에 들어가면 괴리율과 Ilv를 알 수 있지만

이걸 안보는 사람도 엄청나게 많다고 한다. 용어 정리를 간단하게 하면, 괴리율이란 그 상품의 실제 값어치와 시장에서 거래되는 값어치의 차이이다. '신한 WTI 원유 레버리지'는  WTI원유 가격을 추종한다. WTI가 10% 오르면 레버리지는 20% 오르는 게 정상이다. 반대로 WTI가 10% 떨어지면 레버리지는 20% 떨어져야 정상이다. 근데 투자자가 몰리게 되면 20% 떨어져야 할 주가가 엄청난 매수세에 떨어지지 않고 버티는 것이다. 그 차이가 괴리율이다. Ilv(Intraday Indicative Value) 그 날 최종 종가를 말한다. 

이제 다시 위의 사진을 보자.

주가는 650원이라고 표시됐는데 IIV는 63.22원으로 표시돼있다. 그리고 괴리율이 928.16%으로 표시돼있다. 즉, 실제 주가는 63.33원인데 괴리율이 미친 듯이 높기 때문에 주가가 650원에서 버티고 있는 것이다. 63.33원짜리를 650원이나 주고 사들이고 있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사실을 모르고 있다. 설령 높은 괴리율을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혹자는 한 달 정도 버티면 급등할 수 있으니 존버하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과연 그럴까? 다음 기사를 읽어보자.

[단독]눈물젖은 원유레버리지ETN, 투자자 잠정손실 4000억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398640

 

[단독]원유레버리지ETN 사실상 '상폐수순'…투자자 잠정손실 4000억

[머니투데이 조준영 기자] 지난달 개인투자자들의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투기과열 현상이 벌어진 원유선물 레버리지ETN(상장지수증권)이 사실상 상장폐지 수순에 들어갔다. 레버리지ETN이 추종하는 원유선물 지표가치가 0에

n.news.naver.com

"현재 신한 레버리지ETN의 IIV 값은 63이다. 만약 유가가 단기간에 급반등을 해 현 유가보다 50%(레버리지는 100%) 폭등한다고 해도 IIV 값은 126(63의 2배)에 그친다. 현재 신한 ETN 가격은 650원으로 전혀 현재 유가가 반영되지 않고 있다. 이 IIV 가격이 0원에 가까워질수록 사실상 거래가 의미가 없다는 의미다. IIV가 1로 떨어지게 되면 유가가 5일 연속 50% 폭등하더라도 △1 △2 △4 △8 △16에 그치게 된다. 극단적으로 현재 레버리지ETN 거래는 이미 가치를 상실한 가상의 기업을 두고 투자자들의 수급만으로 가격을 뻥튀기 하는 일과 비슷하다는 설명이다."

 

지표 가치가 0으로 수렴하게 되면 원유 레버리지 ETN은 투자가치를 완전히 상실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무기한 거래정지가 시작될 것이고 결국 상장폐지 수순을 밟을 수도 있다. 그렇게 된다면 투자자가 돌려받는 금액은 [IIV가격*보유주식수]가 된다. 자산의 90% 이상 손실을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잔인한 현실을 모르고 오늘도 엄청난 물량이 원유 레버리지에 몰렸다.

오늘 밤 유가가 갑자기 폭등하면 회생될 기회가 올 수도 있겠지만 그러기엔 힘들어 보인다.

이전 글에도 썼듯이 현재로썬 유가가 오를 이유가 없다는 게 그 이유다.

원유 저장고는 이미 가득 차서 더 이상 저장할 공간이 없다. 초대형 유조선의 하루 저장 임대료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저장보다 돈 주고 원유 줘버리는 게 싼 이유)

코로나는 아직 한창이고(수요 감소), 대규모 감산합의는 겨우 970만 배럴에 그쳤다.(추가 감산합의 가능성의 어려움)

물론 트럼프의 트윗질이나 재감산 논의가 진행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면 단기간 급반등 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본다면 유가가 언제 회복될지는 아직도 미지수기 때문에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말인즉슨, 급반등 한 그 날이 원유 레버리지를 탈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https://kr.investing.com/news/commodities-news/article-386860

 

[석유전쟁] "美 석유 ETF로 몰린 개미 투자자들, 대규모 손실 직면"

[석유전쟁]

kr.investing.com

 

 

국제 유가가 미쳤다.

WTI 5월물이 막판 -37%를 기록하며 사상 초유의 마이너스 유가를 기록하더니

6월물 역시 장중 15% 이상 떨어지며 바닥인 줄 알고 진입한 개미들이 지하를 맛보는 것이다.

근데 지금 이 글을 작성하는 오후 9시경 현재 WTI 24% 폭락한 15불까지 떨어졌다. 

지하 10층 밑에 20층 30층이 있던것이다.

이런 사태가 발생할 것은 어느 정도 예상은 하고 있었다. 

현재 하루 생산량의 3000만 배럴이 남아도는 상황에서 전 세계적으로 감산은 970만 배럴밖에 하지 못했다.

즉, 하루에 2000만 배럴 이상의 원유가 남아도는 것이다.

그러니 원유 가격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돈 주고 원유를 주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혹자는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그럼 원유 생산량을 줄이면 되지 않느냐고??

그게 그렇게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정유공장과 같은 거대한 공장을 셧다운 시켰다가 재가동하는 것은 금전적으로 손해가 막대하고 직원들의 일자리 문제도 있을 것이며 무엇보다 나만 공장을 가동 중단해서 뭐할 것인가? 다른 나라에게 거래처나 뺏기겠지. 그래서 원유를 갖다 버리는 한이 있더라도 감산을 안 하는 것이다. 

 

결국 이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유 생산국들의 추가적인 대규모 감산 논의가 이뤄지던가, 원유의 수요가 원래대로 회복돼야 한다. 그러나 코로나가 정점을 찍었다고는 하나 아직까지 예전의 수요를 복구하기엔 시간이 한참 남아 보인다. 미국도 현재 주 단위 이동 금지령을 해제해야 어느정도 원유 수요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미국은 아직도 대규모 확진지가 나오는 추세라서 이동금지령을 당분간 해제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결국 유가는 당분간 계속해서 추락할 것으로 보인다. 어쩌면 10불이 깨지는 역사를 보게 될지도. 현재로썬 답이 없다.

 

내일 원유 추종 지수가 어떤 그래프를 그릴지 심히 걱정된다. 

 

결론: 곱버스 산사람 부럽다!!!!!

+ Recent posts